본문 바로가기
청년지원정책

K패스 혜택 / 신청방법 / 사용방법 / 기후동행카드 비교 / 유의사항

by 철대가리 2024. 5. 28.

K-패스는 19세 이상 국민이면 누구나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할인카드입니다. 매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최대 60회의 교통비의 20~53%를 적립할 수 있습니다. 이를 통해 국민들의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, 교통비 부담을 줄이는 것이 목적입니다.

 

아래에 K-패스의 혜택, 신청방법, 사용방법, 기후동행카드 비교, 유의사항 등에 관해 자세히 설명드리오니, 자신의 상황에 맞게 신청하시면 되겠습니다.


1. K패스 혜택

(1) 지원대상

  • K-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된 만 19세 이상 주민 (아래 그림 참고)

K패스 사업 참여 지자체

(2) 적립수단

  •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카운트하여 일정비율 금액을 지급
  • 월 60회 초과 이용자는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카운트 하여 지급
  • 월 대중교통 이용금액 20만원 초과 시 초과 이용금액에 대해서는 50%만 적용하여 지급

(3) 적립률

구분 대상 적립률
일반 만 35세 이상 20%
청년 만 19세 ~ 만 34세 30%
저소득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53%

 


2. K패스 신청방법

K-패스는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하시던 분이 전환하는 방법과 K-패스를 신규가입하는 방법 2가지가 있습니다. 아래의 내용 참고하시어 진행해주시면 되겠습니다.

 

(1) 기존 알뜰교통카드 이용자

  •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-패스 회원전환 시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와 계정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 가능
    ※ 전환기간 : 2024년 6월 30일 까지
  •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=> [클릭]

(2) K패스 카드 신규 가입

  • K패스 신청(준비)
    ※ K-패스 신청가능 카드사 => [클릭]
  • K패스 회원가입
    ① 회원가입 화면 진입(홈페이지 또는 앱) => [홈페이지 클릭]
    ② 발급된 카드의 카드번호 15~16자리 입력 후, "유효성 체크" 클릭
    ③ 필수약관 모두 동의 시 본인명의 휴대폰으로 본인인증 진행(PASS앱 또는 문자인증)
    ④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주소지 검증 실시
    ⑤ 필수 회원정보 입력 후 가입 완료

3. K패스 vs 기후동행카드

  • 기후동행카드는 1회 요금 충전(62,000원 또는 65,000원)으로 30일간 대중교통(지하철, 버스), 따릉이(선택)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.
  • 비교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.
항목 기후동행카드 K패스
지원기준 카드구매자 월 15회 이상 사용자
지원내용 [30일 정기권]
· 월 62,000원(따릉이 제외)
·  월 65,000원(따릉이 포함)
·  만 19세~34세 청년 7,000원 할인
[이용금액 일정부분 환급]
·  만 19세~34세 청년 30% 환급
·  만 35세 이상 20% 환급
·  저소득층 53% 환급
지원상한 무제한 월 최대 60회
이용범위 서울 지역 버스, 지하철
김포골드라인 전구간
(신분당선, 서울 지역 외 지하철, 광역버스 등 제외)
전국 시내버스, 지하철
(신분당선, 광역버스, GTX 등 포함)
  • 개인의 대중교통 이용패턴에 따라 선택을 하는 것이 좋으며, 어떠한 기준을 세우느냐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.
  • 서울시에 거주하고 대중교통을 자주 이용한다면 기후동행카드가, 서울시를 벗어나 여러 대중교통을 이용한다면 K패스가 좋습니다.
  • 금액적인 부분에서 교통비가 77,500원 이하이면 K패스가 유리하고, 77,500원 이상이면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합니다.(20% 환급 기준)
  • 기후동행카드 관련 상세한 사항 => [클릭]

4. K패스 유의사항

  • 카드사별로 할인금액에 대해 지급방식이 다르니 확인 필수
    ① 계좌 입금
    ② 결제금액에서 차감
    ③ 쿠폰함으로 지급
  • 카드 태그시 오류 혹은 잔액부족이 뜨는 경우 => K패스 담당자가 아닌 카드사에 문의
  • K패스카드 중복 발급시 큰 금액 기준 1회만 캐시백 지급

5. K패스 카드 종류

https://korea-pass.kr/info/card_guide.do